1. 목적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을 유지, 향상시키기 위해 제조활동에 사용되는
설비(이하 "치공구"를 포함함)의 구입에서부터 운영, 유지, 보전업무의 체계를
명확히 하여 효율적인 설비 관리를 통해 제조 산포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규칙은 당사 제품 생산공장의 생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설비를 포함한
모든 생산보조 치공구의 구입, 유지, 보전관리 업무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MP(Maintenance Prevention) 정보
신규 설비의 도입단계에서 고장이 없고, 보전하기 쉬우며, 안전하게 사용하기
쉬운 완전한 설비를 설계하기 위한 활동으로 설비의 약점을 연구하고
그것을 설계부분에 피드백하여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자료를 말한다.
3.2 보전(Maintenance)
설비의 운전과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열화에 의한 손실비용을
최소화하고 설비상태를 최고로 좋게 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고자 하는
제반 활동을 말한다.
3.2.1 계획 보전 (Planned Maintenance)
모든 설비를 생산활동에 미치는 중요도에 따라 예방보전 대상설비와
사후보전 대상설비로 구분하여 사전계획에 준하여 실시하는 보전활동이다.
3.2.2 예방 보전 (Preventive Maintenance)
설비고장이나 정지, 성능의 저하, 안전성의 상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점검으로 계획적인 보전활동을 말한다.
3.2.3 예지(예측) 보전 (Predicted Maintenance)
사용 매뉴얼, 이전의 고장경험(실적), 마모성 치공구 등 설비의 고장,
교환주기, 점검주기 등을 예측하여 사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보전활동을 말한다.
3.2.4 개량 보전 (Corrective Maintenance)
설비의 신뢰성, 보전성, 안전성, 조작성, 경제성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설비성능을 개량하는 보전활동을 말한다.
3.2.5 사후 보전 (Breakdown Maintenance)
설비의 중요성, 보전성, 안전성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예방보전을
하는 것 보다 고장이 발생한 후에 바로 조치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에
사전에 예비품 등을 준비하여 바로 조치하는 보전방식으로 예측하지 않은
돌발고장에 의한 긴급보전(Emergency Maintenance)과 구별한다.
3.2.6 일상 보전
일과 시작 전/후에 설비를 청소 및 주유하는 등의 기본적인 정비작업과
설비의 마모부식,파손 등 열화상태를 파악하고 조치하는 활동을 말한다.
3.3 열화
설비의 성능, 정도, 수명 등의 저하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4 오버홀 (Overhaul)
설비의 열화정도가 심하여 성능이 매우 부진하고 생산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에 설비를 완전히 분해하여 수리하는 것을 말한다.
3.5 중점 설비
제품 생산품질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거나 특히 고객 또는 협업팀에
의해 지정된 특별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설비로 "설비평가기준"에 의해
중점설비로 분류된 예방보전 대상 설비를 말한다.
3.6 일반 설비
제품 생산품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공정간 제품흐름, 제품 이동 등 전,후
공정을 연결하여주는 설비로 "설비평가기준"에 의해 일반설비로 분류된
설비로써 별도의 점검은 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될 요인이 있을 경우
점검하는 설비를 말한다.
3.7 설비(Equipment)
생산 및 품질 활동에 필요한 기계나 장치(Fool Proof 포함)를 말한다.
3.8 예비 부품(Spare Part)
설비의 주요 부품으로 이를 반복 또는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성능의 저하 또는
마모로 고장 발생시 설비가동에 막대한 손실이 우려되는 부품
3.9 치공구
3.9.1 Jig & Fixture
가공 및 조립시 대상물의 위치를 결정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장치
3.9.2 게이지(Gage)
생산 및 품질 활동에 필요한 설비(치공구)로 판정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설비
(1) 한계 Gage : 측정부품의 단일 치수 공차 범위내에 있는가를 검사하는 Gage
(2) 기능 Gage : 형상 및 위치의 관계를 점검하는 Gage
(3) 지시식 Gage : 치수 한계내에서 실제 치수를 측정하는 Gage
4. 책임과 권한
4.1 설비 구매/발주 부서
4.1.1 투자계획서 작성 (유휴설비 활용가능성 확인,경제성 및 적합성 검토)
4.1.2 설비 기본제작 시방서 및 Lay Out 작성
4.1.3 투자예산 수립(예상 투자비 산출),설비투자 품의서 작성 및 발주의뢰
4.1.4 입고업무 주관,계약사항(대금지불,제작(구매)관련) 이행여부 확인,조치
4.1.5 제작승인도 심의(보완요청,확인) 및 최종 합의
4.1.6 구입 설비 관련 Manual, Spare Parts 확보
4.1.7 설비업체와의 서비스 관련 구매 계약
4.2 설비 사용부서
4.2.1 입고 설비의 검수, 판정 및 성적서 작성
4.2.2 시운전/생산 주관 (시생산 Data 관리 및 관련부서 공유,문제점 개선)
4.2.3 설비평가 기준에 의한 설비 평가 및 설비 분류
4.2.4 설비 제원카드 및 설비이력 관리
4.2.5 설비 설명서, 회로도, 도면 서식관리 및 Program 복사본 등 자료 관리
4.2.6 예방보전 지도서 작성, 예방보전 계획 수립 및 정기적 보전활동
4.2.7 설비관리, 보전인원에 대한 교육 실시 및 자격인증 평가
4.2.8 이상 발생시 보고, 시정조치, 기록 유지
4.2.9 설비 운용 계획 및 성과 관리(가동률, 유실률 등)
4.3 승인권자
업 무 내 용 | 승인권자 | 업 무 내 용 | 승인권자 |
설비관리 대장 | 설비담당 | 입고설비 판정 | 부서장 |
설비 등급평가 | 부서장 | 설비이상 조치 | 부서장 |
설비 예방보전 | 부서장 | 설비보전 성과보고 | 부서장 |
설비 점검표 | 설비담당 |
5. 실시 절차
5.1 설비 투자
5.1.1 설비투자 계획 작성
(1) 설비투자 자료 조사/ 분석
① 설비투자 자료조사 및 분석내용
㉠ 투자개요 : 대상제품, 투자지역, 대상공정, 투자일정 등
㉡ 수요예측 : 신규투자의 경우 투자 당해 년도부터 향후 5년까지 조사분석
② 기존 생산 공정의 생산성, 품질, 가동율, 설비이력, Lay-Out, 인원 등에
대한 현상 및 문제점을 조사 분석한다.
(2) 설비 투자방안 작성
① 투자대상 제품, 공정 및 투자방법(외자 및 내자)을 결정한다.
② 신규제작의 경우 설비용도, 기본요구 동작, Cycle Time, 구성부품,
사용동력, 전압 등의 Lay-Out 및 기초시방서를 상세하게 작성한다.
③ 투자방안의 결정시 유휴설비의 재활용 가능성을 판단하여 재활용이
가능할 경우에는 개조 및 보완에 필요한 예상금액을 산출한다.
(3) 설비투자 계획서 작성
① 투자 필요성은 정성적, 정량적 방법으로 작성한다.
② 투자개요는 투자 대상제품, 대상공정, 투자방법 등을 항목별로 작성한다.
③ 예상되는 투자금액을 항목별로 산출하여 작성한다.
④ 투자효과
㉠ 정량적 효과 : 생산,품질,성인화,면적절감,가동율 향상,공정편성 효율
등에 대한 향상율 및 예상효과 금액으로 작성한다.
㉡ 정성적 효과 : 애로공정 해소, 작업환경 향상 정도 등
㉢ 투자일정 : 투자계획에서 투자완료단계까지의 주요 항목별 추진일정을
구분하여 작성한다.
5.1.2 경제성 및 적합성 검토
(1) 투자회수기간, 투자 수익율, 투자효과금액, 손익분기점 등 재무적 적정성과
현금흐름을 기준으로 변동요인을 고려하여 경제성을 검토한다.
(2) 적합성 검토
① 목적 및 목표달성이 가능한 투자계획인가를 검토한다.
② 타공정 및 타 Model과의 연계성 및 호환성 정도를 검토한다.
③ 당사의 기술적 대응수준을 검토한다.
④ 기존설비 및 유휴설비의 재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한다.
⑤ 설비 Spare Parts 및 생산제품의 원자재조달 가능성 및 용이성을 검토한다.
5.1.3 시방서 작성
(1) 설비용도 및 설비명, 공정 및 생산제품 개요, 장소, 운전조건,
제작(구매)수량, 사용동력, 수명, 환경, 안전과 가격을 작성한다.
(2) 매뉴얼(번역), 운반방법, 보험가입, 예비품 품목(단가)을 추가로 작성한다.
(3) 상세내용으로 설비 가도면, 구성품 List, 설비구성 부품별(유압,공압,
일반기계,전기.전자), 업체명, 규격, 수량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5.1.4 투자 결정
투자부서는 투자목적, 투자개요, 투자금액, 투자효과, 투자일정 등
관련자료를 첨부하여 관리부서 합의후 대표이사의 승인을 득한다.
(1) 견적서 또는 견적대비 결과보고서
(2) 상세 제작 시방서 및 도면(생산제품,제작설비)
(3) 필요시 투자경제성 및 적합성 검토 결과서 첨부
(4) 투자세부 내역서
5.1.5 발주
(1) 견적접수 및 심사
① 제작(구매) 설비의 제작(구매)업체를 선정, 견적을 의뢰하여 접수한다.
이때 견적은 복수로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기술사양서 및 관련자료를
제출하도록 한다.
② 기술사양서의 심의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업체를 설비제작
(구매)계약 업체로 결정해서는 안된다.
(2) 제작(구매) 계약
① 기본적인 계약사항(품질, 납기, 가격)에 준하여 발주 계약서를 작성한다.
② 발주대금은 입고 후 합격시점에서 지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상호 협의에 의해 선급금, 지급율, 지급시기 등은 예외로 할 수 있다.
③ 가능한 경우 선급금에 대해서는 계약사항의 성실한 이행 및 위험을
예상하여 보증보험 가입을 원칙으로 하고, 보증증권을 징수하여 계약이
완료될 때까지 관리한다.
④ 품질불안, 기술력 부족 등으로 발생하는 납기지연이 제작(공급)업체의
귀책사항인 경우, 납기 지연에 대한 지체 보상금을 대금지불시 공제한다.
⑤ 하자보증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작(구매) 계약시 내용을 포함시켜
상호합의에 의해 계약을 해야 한다.
(3) 제작승인
① 발주부서는 업체에서 제작해온 승인도를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검토한다.
㉠ 제작시방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 안전부분에 대한 이상 유,무를 검토한다.
㉢ 추가하거나 보완할 내용에 대하여 검토한다.
② 검토결과 내용을 보완하거나 추가 또는 변경해야할 사항이 발생할 경우는
상호 귀책사항을 검토하여 상호협의에 의해 변경을 하도록 한다.
(4) 대금지불방법
① 대금은 설비공급에 따른 의무와 조건을 완료하였음을 확인한 후 지불한다.
② 계약금을 포함한 대금지불시에는 세금계산서, 보증증권(선급금,하자이행),
납품서, 입고확인서(인수인계서), 검수확인서 등의 관련서류를 확인하여
계약이행의 철저를 기하도록 한다.
5.1.6 설비제작 및 입고승인 검수
(1) 중간 검수
① 발주부서는 제작 진행상황을 관리하고, 필요시 진척현황을 제작업체에게
요청한다.
② 제작이 50~60% 진행되는 시점에서 중간 검수를 할 수 있으며,
특별한 문제점이 없는 경우, 납입실적이 있거나 기성품인 경우,
중간검수는 생략이 가능하다.
(2) 최종 검수
① 제작완료 후 업체에서 자체 시운전을 실시하고 기계의 성능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실시한다.
② 검수는 발주부서가 주관이 되어 실시하며 필요시 관련부서를 참여시킨다.
③ 검수시 제작시방 준수 여부 및 당사에 입고 후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는 검사가 되어야 한다.
④ 입고 승인시 발주부서는 제작설비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수보고서를 작성하여 부서장에게 보고한다.
단, 경미한 사항으로서 설치기간 중 보완이 가능한 내용에 대해서는 업체와
협의하여 입고 후 조치를 전제로 입고 승인을 할 수 있다.
⑤ 입고일자, 운반관계 등은 발주서를 기준으로 협의하여 결정한다.
⑥ 당사의 사정으로 검수치 못하는 설비에 대해서는 Maker의 시험성적서를
접수받아 이를 대신할 수 있다.
⑦ 입고 일정이 변경되어야 할 경우 제작업체 및 발주부서는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협의 후 입고 일정을 재확정하여 관련부서에 통보한다.
5.1.7 입고
(1) 설비 입고
① 발주부서는 설비의 외형 Size, 무게, 유틸리티 등의 설치시방을 확인하고
사전에 준비한다.
② 발주부서는 입고장소의 선정 및 설비 이동시 신속하고 안전한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작업장 주위의 정리, 정돈을 실시한다.
(2) 입고 후 확인 및 조치사항
① 설비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조립상태, 외내부 파손상태 등)
② 주변장치의 누락 여부를 확인한다.
③ 제작시방과 적합한지 확인한다.
④ 설비의 도면을 확인한다.(총조립도,부분조립도,Unit도,Spare parts 도면)
⑤ Spare parts list 및 Packing list와 현물을 확인한다.
(부품 전체 list에 S/P 표기, 구입선 및 연락처, 담당 등 기록포함)
5.1.8 설치 및 시운전
(1) 설치장소 선정
① 발주부서는 생산 제품의 물류 흐름 및 설비의 특성과 Size를 감안한
설치장소 선정시 협업팀을 구성하여 최종 Lay-Out을 확정하고 해당 위치를
표시하고 설치와 관련한 정보(설비명, 설치일자)를 표시한다.
② 설치 위치는 제품 생산의 장단기 계획을 감안하여 확정한다.
(2) 설치완료 후 다음사항을 확인한다.
① 설비의 설치완료 후 설비의 외관상태, 각종Cable 정렬상태, 조립상태
② 수평작업은 시방대로 되었는지 여부
③ 자재는 시방서에 준하여 규격품을 사용하였는지 여부
(3)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귀책사유를 확인하여 조치를 의뢰한다.
(4) 시운전 사전 조치사항
① 사용부서는 검수시 지적내용을 포함하여 모든 문제점의 대책을
협의하고 최단 기간 내 조치되도록 업체에 요구하며 이를 관리한다.
② 제작업체와 각 운전상태를 확인한 후 이상이 없는 경우 사용부서는
시운전을 준비한다.
(5) 시운전 및 TEST
① 시운전은 사용부서 주관하에 시행하며 제작업체에 요청하여 설비의
제반 운전방법과 보전방법을 사용부서에 교육훈련을 실시하여
사용과 보전에 문제가 없도록 해야 한다.
운전원 교육 | 보전원 교육 |
- 운전방법(작업표준) - 일상보전(청소,급유,점검) 내용 및 방법 - 운전시 발생되는 이상에 대한 조치방법 (Troubleshooting) - 운전 및 보전시 발생이 예상되는 환경, 안전상의 주의사항 및 조치방법 |
- 운전중에 발생되는 중대고장에 대한 원인분석, 조치방법 - 각종 Trouble에 대한 재발 방지책 - 설비점검 및 Spare parts 교체방법, 교체주기, 교체기준 등 - 타 설비와의 상호 연관관계 등 - 운전 및 보전시 발생이 예상되는 환경, 안전상의 주의사항 및 조치방법 |
② 시운전시 주요 점검항목
㉠ 각종 유틸리티 이상 유,무 확인.
㉡ 설비 구성 부위별 동작상태 확인.(충격, 과부하, 이탈, 간섭, 전원 등)
㉢ Cycle Time 확인
(6) 설치 완료 보고
기본적인 TEST 및 보완이 완료 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부서는 설비 설치
완료보고를 한다.
(7) 시생산
① 시생산은 사용부서가 주관하며 공정별 설비 및 생산제품의 특성을
고려한다.
② 사용부서는 시생산 기간중 설비인증에 필요한 각종 Data를 산출한다.
5.1.9 설비등급 평가
(1) 설비담당자는 년 1회(통상 전년 12월 ~ 당해 년 1월) 생산활동에
사용되는 설비에 대해 "설비평가 기준표"에 준해 설비등급 평가를 하여
부서장의 결재를 득한다. 단, 검.교정 대상 측정기는 제외한다.
(2) 동일 설비라도 내용년수, 사용빈도가 상이하므로 개개 설비로 평가한다.
(3) 평가 결과 평점 30점 이상인 설비는 "중점설비", 29점이하인 설비는
"일반설비"로 분류한다.
(4) 평가 결과 중점 설비로 평가된 설비는 "예방보전" 대상이다.
5.1.10 설비등록
(1) 신규 입고된 설비, 치공구는 등록번호를 부여한 후 관리라벨을 부착한다.
단, 부착 공간이 없을 경우 등록번호 또는 규격만 명시하여 기록 관리한다
(2) 관리번호 부여 기준 및 관리Label 기록 내용
① 관리번호 부여
○○-○○-○○○
㉠ ㉡ ㉢
㉠ 회사 영문이니셜
㉡ 설비(치공구)명 약어
㉢ 일련번호
② 사용부서명
③ 제작처 : 설비 제작처
④ 품명 : 설비(치공구)명
⑤ 승인일 : 검수 및 사용 승인일
⑥ 승인 : 입고검사후 사용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는 담당자가 서명
⑦ 비고 : 적용기종 또는 기타 필요사항
5.1.11 하자보증 및 사후관리
(1) 하자보증 범위
제작(구매)시방 및 계약사항 중 업체 귀책사유에 의해서 발생하는
마모,파손, 동작불안정, System 연결 결함, 절대적 수명감소, 내구성 등의
부족사항에 대해서 무상조치를 받도록 한다.
(2) 하자보증 기간
하자보증 기간은 제작(구매) 계약서에 명기된 기준으로 하되
명기가 되지 않은 경우는 1년을 기준으로 관리한다.
(3) 설비표준 작성
① 사용부서는 요구하는 품질을 달성하기 위한 설비조건을 결정하여
관리공정도(Control Plan)와 작업지도서를 개정해야 한다.
② 사용부서는 보전 관련된 사항을 결정하여 보전업무에 필요한 표준서를
제정한다.
5.2 보전 활동
5.2.1 설비 일상점검 운영
(1) 사용부서는 설비운전자가 일상점검 기준에 따라 설비 기본조건(청소, 점검,
급유)과 사용조건(올바른 작업)을 준수하도록 교육훈련을 시켜야 한다.
① 일상점검 기준은 설비고장 및 품질 예방을 기본 원칙으로 점검항목,
점검방법,판단기준,점검주기 및 시기를 포함하여 작성한다.
② 일상점검 기준에 따른 실시 및 조치결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2) 사용부서장은 생산성과 품질의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대상자를 정하고
다음사항을 포함하여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한다.
구 분 | 내 용 |
사용조건 | - 설비기능 및 구조, 설비 가공점 해석 및 이해 - 설비파라메타, 운전작업방법(작업표준), 안전작업표준 - 설비조건 이상발견 및 조치 방법 |
기본조건 | - 청소, 점검, 윤활관리 방법 (부위 →기능 →구조 →기준 →방법 →주기) - 운전자 일상점검 수준에 맞는 설비부위별 기능 이해 - 설비가동 불합리 적출 및 복원능력 |
5.2.2 설비관리대장 작성
(1) 설비담당자는 년 1회(통상 전년 12월 ~ 당해 년 1월) 생산활동에
사용되는 설비, 치공구, 측정설비를 조사하여 "설비관리대장"을 작성한다.
(2) 신규 입고, 폐기된 설비는 "설비관리대장"을 즉시 개정 또는 갱신한다.
5.2.3 설비 예방보전 지도서 제.개정
(1) 중점설비로 분류된 설비는 "설비예방보전 지도서"를 작성하여 활용한다.
(2) "설비예방보전지도서"의 제정 및 개정시 고려할 사항
① 보전항목, 주기 설정 근거
㉠ 과거 1년간의 각각의 설비의 고장 이력
㉡ 제조업체에서 공급되는 설명서(Manual)상의 보전항목, 주기
㉢ 정보가 없는 경우 설비 사용(보전)경험자에 의한 설비 FMEA 실시
② 보전내용, 판정기준
㉠ 구체적인 내용으로 작성하고 가능한 수치화
㉡ 판정기준은 측정 설비를 이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 설정
③ 최소 보유 예비부품(Spare Parts)명 및 수량
㉠ 과거 각각의 설비의 고장으로 인해 교체한 부품
㉡ 제조업체에서 공급되는 설명서상 필요 예비부품(Spare Parts)명 및 수량
㉢ 년, 월, 주 단위의 명확한 수량 보유 기준
④ 비 사용시 포장, 보존방법
설비, 치공구의 특성에 따른 포장 및 보존(보관) 방법 명기
5.2.4 보전환경 구축
(1) 설비관리를 체계적으로 하여 설비의 품질과 성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보전조직과 역할분담을 명확히 한다.
(2) 보전활동의 관리기준을 정립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여야 한다.
① 보전대상 설비에 대해 중요도를 평가하고 보전방법을 결정한다.
② 중요도 평가는 설비별로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설비가 적은 제조방식인
경우에는 공정별 평가로 대신할 수 있다.
③ 설비중요도 평가 기준은 생산성, 품질, 안전의 영향 및 보전의 난이도 등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정한다.
(3) 설비 BOM(Bill of Material) List 작성
① Spare parts의 재고관리와 부품별 고장관리가 가능하도록 구분한다.
② 미등록 Spare parts는 필요시 BOM List에 신규로 등록하여 관리한다.
(4) 고장에 대한 처리기준을 수립하여 기준에 의해서 관리한다.
(5) 보전원의 기능향상을 위한 교육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 및 평가한다.
① 부서특성에 따른 설비 보전에 필요한 기능 항목을 파악한다.
② 보전원의 보전기능 수준을 항목별로 평가한다.
③ 년간 교육계획을 수립, 교육훈련 실시 후 결과를 평가한다.
5.2.5 보전계획 수립
(1) 예방보전 계획
① "설비예방보전지도서"를 근거로 설비별 주, 월, 분기, 반기, 년 단위로
보전항목을 주기별로 기록하여 년간 계획을 수립하여 부서장의 승인을
받는다.
② 년간 계획은 예방보전이 필요한 중점설비에 한해 수립하고 일반설비는
별도의 계획은 수립하지 않는다.
③ 예방보전은 정기점검, 검사, 교체, Overhaul, 자재조달, 인력확보,
외주의뢰 등의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한다.
④ 예방보전의 항목은 고장분석과 개선을 통해 필요한 항목을 수정한다.
⑤ 품질이나 안전 등에 관련한 설비 Gage를 정하여 정기적인 정도관리를 하고
결과를 기록 관리한다.
(2) 개량보전 계획
① 설비 수명의 연장 또는 성능향상 업무에 대해서 계획을 수립한다.
② 년 1회 이상 고장 또는 생산 Loss 분석을 통하여 개선 계획을 수립한다.
5.2.6 예방보전 실시
(1) 일상보전 활동
① 설비의 이상을 예측하고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일상보전을 실시한다.
② 일상보전의 점검 항목은 품질, 생산성,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③ 일상점검의 주기는 매일 또는 주단위로 하되 실시가 용이하도록 설정하며
월간단위의 항목은 정기보전으로 실시한다.
(2) 정기보전 활동
① 정기검사, 수리, 부품교체, Overhaul, 윤활관리 등으로 구분한다.
② 대상 및 항목은 설비 제조자의 권고사항이나 예방보전 활동에 대한
SPC 자료의 상관관계 등을 바탕으로 선정한다.
③ 설비보전부서는 정기보전에 의한 예방보전 계획에 따라 실시한다.
㉠ 일반사항 : 부서, 담당자, 대상설비, 부위
㉡ 점검사항 : 점검항목 및 기준, 점검시기, 방법
㉢ 조치사항 : 정기보전 대상부위 정비기준
④ 주기는 최소 주단위를 넘지 않도록 하고 가능한 점검항목은 정량화하여
실질적인 점검이 되도록 한다.
(3) 개량보전 활동
① 설비효율 향상을 위해 설비Loss ZERO화를 목표로 개량보전활동을 실시한다.
② 설비Loss는 생산성, 품질, 안전, 에너지 등 전반적인 부문을 포함한다.
③ 개량보전 활동은 생산설비와 관련된 부서(생산, 설비보전, 합리화 등)가
참여하여 실시하고 개량보전 후 유효성 평가를 한다.
④ 사용부서는 종합설비 생산성 극대화 활동을 위해 관련지표를 관리하여
Loss의 현상과 개선 후 효과파악을 가시화 시킨다.
⑤ 개량보전 결과는 재발방지를 위해 관련 기술 자료화 및 관리 표준화를
실시한다.(작업표준, 설비개선의 기술자료 등)
5.2.7 Spare parts 관리
(1) 안전재고 관리
① 년,월,주간 보전계획 및 Spare Parts 교환 이력을 분석 검토하여
필요할 때에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도록 Item 별로 설정한다.
② Spare Parts 조달 Lead Time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③ 다음의 경우에는 Spare Parts 확보하고 안전재고를 설정하여 관리한다.
㉠ 돌발사항 발생시 재고가 없을 경우의 손실이 재고 비용보다 큰 경우.
㉡ 조달기간이 길고 생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 계획보전용 부품이면서 사용량이 많고 동시에 비용이 낮은 것
(2) Spare Parts 입, 출고 관리
① 발주 후 입고된 품목은 부식이나 변질이 되지 않도록 해당보관 장소에
보관한다.
② 사용 후 당일 보고가 어려울 경우에는 출고시 출고기록과 사용 이력을
정리하여 정확한 재고관리가 되도록 한다.
(3) 보전담당자는 확보된 예비부품을 지정된 보관장소 또는 Rack에 품명별로
보관, 관리하고 설비별 예비부품(Spare Parts)을 매월 또는 정기적으로
재고조사를 실시하여 부족분의 구매 여부를 결정한다.
(4) 설비의 예비부품(Spare Parts)의 수불관리는 설비담당자가 "수불관리대장"을
통해 수불을 명확히 관리하여 항상 최소 보유 수량이 확보되도록 한다.
5.3 유휴(폐기 포함) 및 이전설비의 관리
5.3.1 유휴 설비의 보관
(1) 지정 보관장소에 설비명, 규격, 보관일, 부서 등을 기록, 부착 관리한다.
(2) 보관장소는 통풍이 잘되고 습기가 없는 장소로 한다.
(3) 이전 대상설비는 분해, 청소하고 이상부위는 정상적으로 복원한 후
방청처리를 하고 윤활유, 작동유 등을 제거하여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한다.
5.3.2 유휴 설비의 예방보전
(1) 장기 보관성에 따라 충분한 양의 방청제 처리를 실시한 후에 Box 또는
Wrap을 이용하여 포장을 한 후 외부환경에 의한 변화를 최소화 한다.
(2)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녹 발생, 고착 등)한 유휴설비는 사용하지 않더라도
지속적인 예방보전을 실시하여 언제나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3) 외부환경에 민감하지 않은 유휴설비의 재사용시에는 유휴기간을 기준으로
예방보전(1주이하→주간보전 항목을, 반기이하→반기보전 항목을)
실시한다.
5.3.3 설비의 폐기
사용부서는 설비의 수명이 다하여 수리를 하여도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는 폐기품의를 하여 승인권자의 결재를 득한 후 폐기한다.
5.4 설비의 PROGRAM 관리
5.4.1 설비의 프로그램은 부주의 또는 오류에 의한 삭제 등에 대비하여
Program을 Back up 받은 DISK를 보관하여야 한다.
5.4.2 DISK는 해당 설비기술(보전)부문에서 보관함을 원칙으로 한다.
5.4.3 Data(Program)는 사용처에서 항상 최신의 것임을 입증하기 위해
설비Program 관리 대장을 작성한다.
5.4.4 DISK의 전면부에는 관리번호, REV.NO, 관리책임자가 표시된 TAG를 붙인다.
관리번호 | |
REV. NO | |
관리 책임자 |
5.5 설비도면 및 자료 관리
5.5.1 관리대상
(1) 설비 FRAME 관련,설비주요 ASS`Y 또는 가공품 Spare parts 도면
(2) 설비 제어용 전기회로도 및 시이퀀스 도면
(3) 설비의 사용 및 보전에 관한 자료
5.5.2 관리방법
(1) 도면은 도면함에 도면대장과 같이 관리토록 하고,매뉴얼은 List와
관리번호를 부착하고 관리 담당자를 지정하여 관리한다.
(2) 설비개조 또는 폐기로 인해 불필요한 도면은 부서장에게 보고하여
폐기한다.
5.6 치공구 관리
5.6.1 검사 및 시험에 활용되는 JIG, FIXTURE 등 GAGE는 각 해당부문에서
정기적인 자체점검으로 예방보전을 실행하며, 이의 식별을 위해
점검필증 (관리번호, 차기교정일자)을 부착한다.
5.6.2 GAGE 특성을 고려하여 각 해당부문에서 정기점검 기준(최소한 1년이내)을
설정하여 초기입고 검사시 검사한 도면치수나 실물치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5.7 설비보전의 목표, 성과 평가 및 개선
5.7.1 설비보전의 목표 수립
설비담당자는 매년 설비보전계획 수립시 설비보전
성과(설비가동률, 유실률)에 대한 전년대비 향상 계획을 수립한다.
5.7.2 성과 평가
(1) 정량적 평가는 설비 생산성 관리지표와 별도의 지표를 선택하여 평가한다.
항 목 | 단위 | 산 정 식 | 목표 | 주기 |
설비종합효율 | % | [(양품수*C/T)/부하시간]*100 | 년,월 | 월 |
시간가동율 | % | [가동시간/부하시간]*100 | ||
성능가동율 | % | [(투입수*C/T)/가동시간]*100 | ||
양품율 | % | (양품수/투입수)*100 | ||
고장강도율 | % | (고장시간/ 부하시간)*100 | ||
고장시간/대 | hr,min | 고장시간 / 설비대수 | ||
고장건수/대 | 건 | 고장건수 / 설비대수 | ||
MTBF | hr,min | (투입수*C/T) / 고장횟수 | ||
MTTR | hr,min | 고장시간 / 고장횟수 |
(2) 정성적 평가는 전사 설비관리(TPM) 종합진단 등에 적용하며 부서장이
판단하여 별도의 항목을 선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① 관리표준 준수 및 유지관리 지속성 평가
② 개선보완 활동성 및 창의성 평가
(3) 계획된 설비보전 성과는 월별로 결과를 평가하여 계획대비 달성율, 전월대비
향상률을 측정한다.
5.7.3 설비보전 성과는 다음을 포함하여 월단위로 작성되어 부서장에게 보고한다.
(1) 설비보전 성과 평가 및 주요 활동 결과
(2) 예방보전 설비의 고장이력 내용
(3) 설비 예비부품의 재고 파악 결과 및 필요 구매 수량
5.7.4 평가 결과로 부진한 부문에 대해서는 "시정 및 예방조치 규칙"에 근거하여
조치하고 지속적인 개선 활동 및 경영자 검토의 일부로 활용될 수 있다.
5.7.5 설비보전 성과는 지속적인 개선 활동 및 경영자 검토의 일부로 활용한다.
6. 품질기록관리
6.1 설비제원카드, JIG 검사성적서 및 고정자산 편입 품의서는
설비(JIG) 폐기 후 1년간 보존한다.
6.2 본 규정에 관련된 품질기록의 보존은 "기록관리규정"에 따른다.
No | 품 질 기 록 | 사 용 서 식 | 보존년한 |
1 | 신규 설비 검사 성적서 | B-99-000(0) | 폐기시 |
2 | 치공구 검사 성적서 | B-99-000(0) | 폐기시 |
3 | 고정자산 편입 품의서 | B-99-000(0) | 폐기시 |
4 | 설비 이력 카드 | B-99-000(0) | 폐기시 |
5 | 설비(치공구)관리대장 | B-99-000(0) | 1 년 |
6 | 설비 등급 평가표 | B-99-000(0) | 1 년 |
7 | 설비 예방 보전 계획서 | B-99-000(0) | 1 년 |
8 | 설비 예방보전 이력 카드 | B-99-000(0) | 5 년 |
9 | 설비 이상발생 보고서 | B-99-000(0) | 3 년 |
10 | 설비 이상발생 수리이력 카드 | B-99-000(0) | 5 년 |
11 | 설비 치공구 점검표 | B-99-000(0) | 1 년 |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계획 수립 프로세스 (0) | 2024.01.16 |
---|---|
품질기록 관리 프로세스 (0) | 2024.01.15 |
고객 만족 프로세스 (1) | 2024.01.12 |
계측기 관리 프로세스 (1) | 2024.01.12 |
부적합품 관리 프로세스 (0) | 202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