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세스

식별 및 추적성 관리 프로세스

by 볼펜82 2024. 1. 22.

1. 목 적

   부품, 반제품, 제품의 식별관리를 통해 부적합품의 구분, 처리를 원할히 하고

   제품 판매 후 발생되는 고객불만, 시장불량제품 및 제조물 책임(PL) 사고 등에

   의한 제품 추적 시에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표준화하여 고객불만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고객불만을 최소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규칙은 당사 제품 생산공장의 부품입고(반제품 포함)에서 제품인도까지는

   물론 고객으로부터 제기되는 모든 불만 업무처리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식별

     제품에 대응하는 제품명, 부품번호, 검사의 상태(양품,불량) 등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표시 또는 마킹하는 것을 말한다.

 3.2 추적성

     기록된 식별수단에 의해 제품의 이력 및 위치 등을 추적하는 것을 말한다.

 3.3 LOT

     제조중요 조건인 4M(Man, Machine, Material, Method) 및 제조시기가

     동일하다고 판단이 되는 제품의 군을 말한다.

 3.4 LOT NO

     제품의 추적 관리를 위하여 단위(묶음)별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3.5 Lot Card

     LOT 투입 시 발행되는 Card로 제품과 함께 이동을 하며 공정명, 작업일자,

     제품명 등이 기록되는 Card를 말한다.

4. 책임과 권한

 4.1 품질관리 부서

   4.1.1 부적합품에 대한 식별관리가 되도록 검사후 판정 결과에 대한

         명확한 식별(Label, Tag, Marking 등) 표시하여야 한다.

   4.1.2 고객 요구나 품질이상 발생으로 Lot추적이 가능하도록 검사성적서를

         기록하고 유지해야 한다.

 4.2 생산부서

     생산 후 제품에 Lot No Marking(Bar code), Label부착 및 Lot Card(이력표)를

     작성하여 출하검사를 의뢰해야 하며, 공정의 부적합품, 검사대기, 검사진행,

     폐기품 등에 대한 식별 관리의 책임이 있다.

 4.3 구매(자재관리) 부서

     수불관리, 부적합품, 검사대기, 검사진행, 장기재고, 악성재고 등에 대한

     식별 관리의 책임이 있다.

 4.4 물류관리 부서

     제품 입출고(현물과 Lot Card 일치, 선입선출), 부적합품, 장기재고,

     악성재고 등에 대한 식별 관리의 책임이 있다.

 4.5 개발(기술)부서

     제품 Lot No, Serial No에 관련한 번호부여 체계에 대한 설정의 책임이 있다.

5. 식별 관리 업무 절차

 5.1 부품 입고

   5.1.1 검수담당자는 각 부품 박스에 부착된 물품표 또는 지정된 Label의

         부품상태를 나타내는 기록이 정확한지 확인한다.

   5.1.2 지정된 물품표 또는 Label의 빈칸이 없도록 기록함을 원칙으로 한다.

   5.1.3 부품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 현황판을 붙여 저장 관리 한다.

   5.1.4 부적합품, 검사대기, 검사진행, 장기재고, 악성재고 등 명확히 식별되도록

         관리해야 한다.

   5.1.5 부적합품은 명확한 가시관리와 격리를 통해 양품과 혼입 또는 무단으로

         공정에 투입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2 수입검사/출하검사

   5.2.1 "검사업무규칙"에 의해 검사를 실시하여 명확히 합.부 판정을 한다.

   5.2.2 검사결과와 검사Lot의 이력을 검사성적서에 기입하고 관련부문에

         통보하여 부적합품이 공정 또는 고객에 투입/출하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2.3 부품/제품의 선입선출을 위해 도장, Label, 현품표 등을 이용 검사일자를

         Box(또는 LOT단위) 단위로 표시한다.

 5.3 공정

   5.3.1 사용되는 부품이 공정에서 이상(불량, 낙하 등)이 발생될 경우 재사용

         되지 않도록 불량Box 등을 이용하여 구분 관리를 해야 한다.

   5.3.2 부적합품, 검사대기, 검사합격, 폐기품 등 명확히 식별되도록 정해진

         위치에 규정된 표식에 의해 관리해야 한다.  

   5.3.3 제품식별   

      고객이 요구하는 경우, 제품과 제품 버전에 대해서는 다음사항을

      기록관리 한다.

     (1) 제품의 재생산에 필수적인 설계 및 생산도구(TOOL)

     (2) 다른 제품과의 연계성

     (3)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환경

 5.4 제품 창고

   5.4.1 제품관리 담당자는 각 제품 박스에 물품표(현품표) 또는 합격

         표시(요구시)가 되어있는 상태로 입고 되는지 확인한다.

   5.4.2 지정된 물품표(현품표)에 빈칸이 없도록 기록함을 원칙으로 한다.

   5.4.3 제품의 혼입이 없도록 위치 현황판을 붙여 저장 관리한다.

   5.4.4 부적합품에 대해서는 명확히 가시관리와 격리를 통해 혼입 출하 또는

         무단으로 출하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5.5 발생되는 모든 부적합품은 보관(적재)위치 구분은 물론 각각의 부품 또는

     Box단위로 명확히 육안 식별이 되도록 표기해야 한다.

 5.6 각 부문별 관리항목 및 식별 표시방법은 다음을 원칙으로 한다  

관리부서 관리 항목 식별 표시 방법
자재관리 - 검사 대기
- 불합격 반품 대기
- 장기재고
- 악성재고
- 황색 구획선
- 적색 구획선, 랙(적색표시)
- 황색 Label 부착
- 적색 Label 부착
수입검사 - 시료 불량
- 합.불 판정
- 적색 불량함 보관
- 합격 : 합격 Label, 합격도장
- 불합격 : 불합격 Label, 불합격도장
- 관리검사 : 녹색 Label
생    산 - Line 및 설비 구획
- 불량품 관리
- 검사 대기장
- 불합격 대기장
- 폐기품 대기장
- 황색 구획선 표시
- 적색 불량함, 적색 구획선
- 황색 구획선
- 적색 구획선
- 적색 표시(별도장소)
출하검사 - 시료불량
- 합.불 판정 관리


- 검사대기(시료)
- 진열대 적색 표시
- 합  격 : Passed Label, 합격도장
- 불합격 : 적색구획선 및 팻말
- 황색 구획선 표시
물류관리 - 합격 제품 - 고객, 모델별 구분 관리

 

6. 추적성 관리 업무 절차

 6.1 수입검사

   6.1.1 검사 부품에 대한 업체검사성적서를 확인하고 검사결과와 검사 Lot의

         이력을 검사성적서에 기록하고 보관한다.

   6.1.2 불합격 Lot에 대한 이상발생 처리 결과를 기록, 보관한다.

 6.2 생산공정

   6.2.1 Lot 이력카드에 중요 부품의 이력을 기록한다.

   6.2.2 Lot 이력카드에 생산조건 및 공정상태를 기록한다.

   6.2.3 제품 각각에 Lot No(Serial No)를 날인 또는 부착한다.

   6.2.4 출하검사 의뢰시 Lot 이력카드를 첨부한다.

 6.3 출하검사

   6.3.1 의뢰 Lot에 대한 Lot 이력카드를 확인하고, 검사결과와 검사 Lot의

         이력을 검사 성적서에 기록하여 Lot이력카드와 보관한다.

   6.3.2 불합격 Lot에 대한 이상발생 처리 결과를 기록, 보관한다.

 6.4 영업, 판매

      고객 주문관련 이력과 주문서를 보관하고 제품 인도(출하)내용

      (날짜, 수량, Model 등)을 P/O관리 대장 또는 ERP System에 기록, 유지한다.

 6.5 Lot No 부여 방법

   6.5.1 Lot No 부여, 관리에 대해 고객이 지정(또는 승인)한 경우, 고객 지정

         사양을 준수하고, 별도의 지정이 없으면 정해진 기준에 의해 부여한다.

   6.5.2 표기위치는 고객의 별도 지정(또는 승인)이 없는 경우, 식별이 용이한

          위치에 표기하되, 필요시 고객에게 승인을 득한다.

   6.5.3 Lot No Marking(날인)방법은 도장 또는 Sticker로 부착하되 문자의

         크기는 동일하게 한다.

   6.5.4 Lot NO Marking(날인)방법은 도장 인쇄 또는 Sticker로 부착 관리한다.

   6.5.5 바-코드(Bar Code)

         고객의 요구 또는 당사의 필요에 따라 바-코드 프린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인쇄물을 프린트 후 제품에 부착할 수 있다.

   6.5.6 Printer Mechanism 및 Set 제품의 Lot No(Serial No), Bar code 표기는

         "Lot No 부여 지침"에 따른다.

 6.6 제품 추적 방법

  6.6.1 추적성 요구되는 경우

    (1) 고객으로부터 Claim, Complaint이 접수되거나 부적합 제품이 반송된 경우

    (2) 변경 관련 사항이거나 과거의 제품 이력이 필요한 경우

  6.6.2 고객으로부터 입수한 정보 또는 반송된 제품의 Lot 추적이 필요하면

        Lot No를 확인 한다.

    (1) 품질관리부서에서는 Lot No를 확인하여 출하검사 성적서와 Lot 이력카드를

        분석하여 품질 특기사항을 파악한다.

    (2) 부품으로 인한 이상발생으로 판단되면 부품명, 규격, 제조일자를 확인하여

        수입검사 성적서의 품질이력 확인 및 특기 사항을 파악한다.

    (3) 자재관리부서에서는 문제 부품 LOT의 사용수량 및 재고를 파악 또한

        협력회사의 생산 당시 문제점등을 파악하여 품질관리부서로 통보한다.

    (4) 품질관리부서는 추적한 자료를 토대로 최종 품질회의를 개최하여

        개선대책과 처리방안을 수립하고 필요시(요구시) 고객에게 통보한다.

 6.8 고객이 회수, 교체 또는 수정을 필요로 하는 제품은 고객이 제품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 생산, 품질 이력을 Active+1년간 유지해야 한다.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성 시험 프로세스  (1) 2024.01.24
파라메타 관리 프로세스  (1) 2024.01.23
서비스 업무 프로세스  (0) 2024.01.19
화학/유해물질 관리 프로세스  (0) 2024.01.18
도면 관리 프로세스  (1)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