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세스

파라메타 관리 프로세스

by 볼펜82 2024. 1. 23.

1. 목적

   제품 품질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파라메타(요소)에 대한 관리 절차를

   규정함으로써 공정을 관리상태로 유지하여 품질특성의 산포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제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당사 제품 생산공장의 모든 공정과 제품에 대해 적용한다.

3.용어의 정의

 3.1 Parameter 관리

     공정의 직접적인 原因系 변수의 일상관리 활동을 통하여 조기 자율점검

     체계를 유지하며 제품의 균일한 산포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인자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3.2 Parameter 관리도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공정에서 주기적 관리가 요구되는 원인계 변수에 따라

     각 공정마다의 품질특성, 관리조건, 관리방법 등을 공정의 흐름에 준해 알기

     쉽도록 작성된 규격을 말한다.

 3.3 계수치 : 불량품의 수,결점의 수 등과 같이 개수를 세어 얻어지는 품질특성 값

 3.4 계량치 :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품질특성 값

4.책임과 권한

 4.1 품질부서

     파라메타 선정의 타당성 검토하고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관리상태를

     유지할 책임이 있다.

 4.2 적용부서

   4.2.1 일 단위로 Parameter관리의 책임이 있다.

   4.2.2 이상원인에 대한 분석 및 조치의 책임이 있다.

   4.2.5 공정 산포의 지속적인 향상계획 수립 및 실행의 책임이 있다.

 4.3 승인권자

업 무 내 용 승인권자 업 무 내 용 승인권자
관리 파라메타 선정 적용부서장 파라메타 시행 현장책임자
타당성 검토 품질부서장 파라메타 관리

5. 실시 절차

 5.1 Parameter 관리항목 선정

     적용부서는 다음을 참고하여 PFMEA 실시 및 관리공정도(Control plan)

     작성시 공정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Parameter를 선정한다.

     특히 관리도 사용에 대한 선택 절차는(별첨2)에 따른다.

   5.1.1 고객 또는 자체적으로 지정한 특별특성

   5.1.2 공정품질, 조건 등에 대한 중점관리 항목

   5.1.3 수입검사, 공정, 출하검사 주요특성

   5.1.4 주요 파라메타

         Screw 공정 Torque, 납땜 온도, Flux비중, 본드량, 접착강도 등

 5.2 관리항목의 타당성 검토

     품질관리부서는 내부품질심사 등을 통해 관리항목 선정의 타당성을 점검한다.

 5.3 관리규격 설정

   5.3.1 선정된 관리항목에 대한 관리(개발)규격을 검토하여 적절한 관리한계

         규격을 설정한다.

   5.3.2 관리한계 규격은 지속 생산은 가능하나 원인조사후 요인을 제가해야

         하는 수준의 규격으로 통상 관리규격의 90% 이하로 설정한다.

 5.4 관리 방법

   5.4.1 Parameter 점검주기는 1회/일 시업 전에 점검을 기본으로 한다

   5.4.2 Parameter관리도에 실제 측정값을 기록하고, 해당 눈금에 표기한다

   5.4.3 주요 공정사건(공정변경, 설비정비, Tool 교환 등)은 관리도에 기록한다.

   5.4.4 관리의 어려움이나 분석에 문제가 있으면 주관부서와 협의하여 해결한다.

   5.4.5 작성 방법

     (1) 표기란

제  품  명 파라메타 Parameter
Check Sheet
점검도구 기안 심의 결정
작  업  자 규    격 차기교정
공정(설비)명 관리한계 점 검 자

       ① 해당 제품명(예, SRP 350)

       ② 해당 파라메타의 공정 작업자(예, 이순신)

       ③ 해당 공정 또는 설비명(예, 전동 Driver CL4000)

       ④ 관리 파라메타 명(예, 전동 Torque)

       ⑤ 해당 파라메타의 관리(설계) 규격(예, 3.0㎏.f± 1.0㎏.f)

       ⑥ 해당 파라메타의 관리 상.하한 규격(예, 2.5~3.5㎏.f)

       ⑦ 파라메타 점검 도구(예, Torque Meter)

       ⑧ 파라메타 점검 도구의 교정 유효일(예, 2005.4.1)

       ⑨ 관리 파라메타 관리자(예, 홍길동)

       ⑩ 소속 부서 결재란

     (2) 관리 눈금 표기란

         관리눈금 표기는 Parameter의 관리기준을 4등분하여 중앙의 절반을

         적합한 관리범위로 한다.

일  자  별 1 2 3 4 5 6 7 ..... 26 27 28 29 30 31
가동중지   ④
  ⑤








  ⑤
  ④















원인분석














지속생산



























































원인분석














기동중지




















1













2











3











4













5













평균











관리자 확인












특기사항 및
조치사항
⑪ 전동Driver 교체 /'04.9.9 /홍길동
                                     

       ① 적색지역 : 관리규격을 벗어나 제품의 품질을 보증할 수 없는 지역으로

                     가동 중지후 요인을 분석제거 하는 지역

       ② 황색지역 : 관리한계 Over의 경계지역으로 지속 생산을 통한 원인조사

                     등의 활동을 전개하는 지역

       ③ 그린지역 : 관리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으로 관리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하는 지역으로 지속생산이 가능한 지역

       ④ 관리한계 눈금을 표기하되 관리(설계)규격을 기록한다.

       ⑤ 관리한계 눈금을 표기하되 관리한계(관리규격의 90% 이하)규격을 기록한다.

       ⑥ 파라메타 실제 측정시간을 기록한다.

       ⑦ 파라메타 실제 측정값을 기록한다. 통상 3~5개를 측정한다.

       ⑧ 파라메타 실제 측정값의 평균값을 기록한다.

       ⑨ 파라메타 실제 측정값의 평균값을 그래프(Dot, 사각, 원 등)로 표기하고

          일별 그래프를 실선으로 연결한다.

       ⑩ 소속 부서 생산담당, 라인 감독자 또는 Patrol 인원이 확인한다.

       ⑪ 관리 규격을 벗어난 사항에 대한 조치결과와 공정 변화상태를 기록한다.

          조치 결과는 조치내역(원인), 조치일, 조치담당자를 기입한다.

   5.4.6 동일 제품(모델)이 연속 생산이 되지 않는 경우 작성방법

     (1) 동일 파라메타의 지속적인 관리는 동일 모델군을 원칙으로 한다.

         동일파라메타라도 관리규격이 상이한 제품을 연결해서 관리할 수 없다.

     (2) 월 단위 생산 모델 변경시 해당월을 기준으로 동일모델군으로

         파라메타 관리를 연결해서 할 수 있다.

 5.5 이상조치

   5.5.1 관리기준을 벗어나거나 각각의 통계적기법에서 규정한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시정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를 관리도에 기록하며, 조치완료 후

         감독자가 관리상태에 있는가를 확인한다.

   5.5.2 적용부서에서 조치가 불가능할 경우 즉시 개발(기술)부서에 통보하여

         분석 및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5.6 사후관리

   5.6.1 현장감독자 또는 공정 Patrol 인원은 일 단위로 작성 결과를 확인하고

         확인란에 서명해야 한다. 확인 서명은 작성이 완료된 시점에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6.2 1개월 단위로 파라메타관리 결과에 대해 소속 부서장이 최종 확인한다.

   5.6.3 적용부서는 분기별 1회 이상조치의 적절성, 재발방지 대책의 실시 현항 및

         유효성 평가를 실시한다.

   5.6.4 선정된 관리항목은 정기적으로(1회/분기) 관리한계 규격을 검토하고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관리한계 규격을 재설정한다.

   5.6.5 다음사항이 발생하였을 때는 파라메타 적용내용을 변경해야 한다.

     (1) 사용공정 또는 제품이 없어 졌을 때(생산중단 및 단종)

     (2) FMEA, 관리공정도(Control plan)의 관리방법이 변경되었을 때

     (3) 6개월 이상 관리한계내에서 안정되어 있을 때

     (4) 관리의 필요성이 소멸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 관리 프로세스  (1) 2024.01.25
신뢰성 시험 프로세스  (1) 2024.01.24
식별 및 추적성 관리 프로세스  (1) 2024.01.22
서비스 업무 프로세스  (0) 2024.01.19
화학/유해물질 관리 프로세스  (0) 202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