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세스

정전기 관리 지침

by 볼펜82 2024. 2. 21.

1.범위와 목적

 본 지침서는 당사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전기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하며,당사의 제조공정에 대한 정전기 관리 업무에 대해 적용한다.

2. 정의

2.1 정전기 : 정전기는 공간에 존재하는 (+)전하와 (-)전하의 전위차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자장 (ELECTRIC FIELD)을 말한다.

2.2 도전성 : 물체가 저항값(Ω)을 갖는 것. 즉, 전류가 통과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2.3 제전성 : 물체가 스스로 정전기를 흡수하는 성질을 말한다.

2.4 WRIST STRAP : 손목에 밀착되게 착용하여 인체에 대전된 정전기를 

      GRUOND를 통해 PASS시키는 기구를 말한다.   

2.5 ESD : Electro-Static Discharge 의 약자로 정전기로 인한 방전을 말한다.

2.6 EOS: Electrical Over Stress 의 약자로서 전원을 사용하는 설비의 누설전류,

      전압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과도 전류/전압을 말한다.

3. 지원문서

 3.1 공정관리 프로세스 

 3.2 진공포장부품관리

 3.3 정전기 민감부품관리

 3.4 시효부품관리

4. 업무처리절차

 4.1 공정 GND파악

     각 공정에서 GND가 필요한 해당항목에 대해서 파악을 하고 고나련해서 GND선을 아래항목에

     대해서 파악하고 생산기술팀에 요청을 해야한다. 

  4.1.1 인체GND

  4.1.2 각 설비 및 계측기GND

 4.2 GND선 요청

    생산기술팀은 각 공정에 요청한 GND선을 필요한 수요만큼만 관련업체에 발주를 내고 각 공정에

    필요한 한 수량만큼 불출해야 한다.

 4.3 GND Set-up

    각 고정은 생산기술팀이 불출한 GND선으로 각 공정의 설비 및 계측기/인체 GND를 Set-up하고

    Set-up된 설비 및 계측기에 한해서 DVM을 이용하여 각 설비 및 게측기에 누설 전류/전압을 측정

    해야 한다.

 4.4 점검

    각 공정 담당자는 해당 관련된 GND에 대해서 주기적인 자체 점검을 실시해야하며, 점검은 실시 후

    문제점이 발생했을 경우 원인을 파악하고 빠른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4.5 사후 관리

    품질관리팀은 각 공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전기 자체 점검에 대해서 통합적인 점검을 하고

    각 공정에 Set-up된 GND에 대해서도 아래 항목을 이용하여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 해야한다.

   4.5.1 DVM 측정기 

   4.5.2 Electrostatic Fieldmeter

   4.5.3 Worksuface Tester

5. 부표

 5.1 점검 주기 및 방법

   5.1.1.  점검 주기

점검 항목 점검 주기
접지저항 측정 1/
정전기 & Surge 점검 1/
인두온도/접촉저항/Surge 점검 1/
Earth-Ring 점검 1/
.습도 점검 1/

   5.1.2.  일별/주간/월간 정전기 점검

     5.1.2.1. 해당 공정의 작업자 및 관리자가 점검 상태를 확인 및 관리한다.

     5.1.2.2  WRIST STRAP TESTER를 이용하여 양부판정 후 불량품은 즉시 교체한다

                : WRIST STRAP의 점검은 아래 그림과 같이 TESTER에 손끝전체를 올려서 실시하며

                  녹색 LAMP에 불리 들어올 경우에만 양품이며 적색 LAMP가 점등되면 불량으로 판정한다.

     5.1.2.3  제전장갑 및 제전화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및 착용시 착용토록 한다.

 5.2 정전기 제어품목 및 양부 판정기준

   5.2.1 정전기 제어품목 

     5.2.1.1 WRIST STRAP, 제전MAT, 제전TILE, 제전화, 제전복, 제전장갑, IONIER, AIR BLOWER

 

 5.3 정전기 제어품목 적용범위

   5.3.1. WRIST STRAP(Earth-Ring)
            반도체가 삽입되어 있는 PBA ASS'Y를 취급하는 모든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PCB 부품삽입, 후가공, 부품준비작업(반도체류), 취급자 전원과 조립공정의 PCB 취급자,

            TEST공정 작업자, 각 공정의 수리사를 적용대상으로 한다.
   5.3.2. 제전화 생산현장의 작업자 및 관리자 전원을 적용대상으로 한다. 단,안전을 요하는 사출물 운반,

             포장 SET 운반, SET포장 작업자는 안전화로 대체한다
   5.3.3. 제전 TILE 및 제전 MAT
              PCB, 후가공, 샤시, 조정, 완성(B/C DOCKING까지)공정의 작업자가 위치한 바닥에 설치하고

             수리대 및 PBA 취급 작업대에도 설치한다. 그리고 ASS'Y운반 및 보관 대차에는 샤시 

             돌출부위까지 설치한다.
   5.3.4. 제전장갑
             후가공, 부품준비작업 공정의 ASS'Y 취급자 전원을 적용대상으로 한다.
   5.3.5. 제전 BOX 및 제전 메가진
             PBA의 보관 및 운반은 반드시 제전처리된 검정 카본 제전 BOX 또는 제전메가진을 사용한다
   5.3.6. 제전의자 COVER작업시 작업자가 사용하는 모든 의자에 제전 COVER를 사용하여야 하며,

             사제 방석은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5.3.7. 접지(GROUND)
   5.3.7.1. 정전기 접지와 설비, 전원 접지는 분리하여야 한다
   5.3.7.2 제전MAT, WRIST STRAP, 납땜인두, 도는 그외 생산용 계측기나 설비에 대해서 반드시

               접지하여 정전기로 인한 전압 발생분이 접지를 통해서 방전되도록 되어야 한다.
   5.3.7.3  단, PCB관인 경우에는 WRIST STRIP, 제전MAT와 설비, 전원의 접지를 분리하여 접지를 실시하여야 하며,

                완성공정인 경우는 설비와 WRIST STRIP의 접지를 분리하되 단, 불가피할 경우에는 같이 접지하여도 된다
   5.3.7.4 정전기 접지에는 제전MAT,  WRIST STRAP, IC FORMING기가 적용된다5) 이동이 많은 ASS'Y 대차는

               CHAIN을 이용하여 대지접지를 한다. 
   5.3.7.5 설비, 전원접지에는 계측장비, 자삽기, 납땜기, 인두, 전동 드라이버가 적용 된다

 5.4 정전기관리의 적용 등급

  5.4.1 A등급 : ESD/EOS에 민감한 IC를 직접적으로 취급하거나 PBA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정

   5.4.1.1. 제전화 및 제전복 착용 필수

   5.4.1.2. PBA/IC를 직접적으로 만지는 작업자 어스링 착용

   5.4.1.3. 바닥/작업대/의자에 제전 처리가 되어야 한다.

   5.4.1.4. 작업시 제전장갑 착용 필수

   5.4.1.5. ESD유발 물품 공정반입 제한 

  5.4.2 B등급 : ESD/EOS에 민감한 IC를 간접적으로 취급하거나 PBA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정

   5.4.2.1. 제전화 및 제전복 착용 필수

   5.4.2.2. PBA/IC를 직접적으로 만지는 작업자 어스링 착용

   5.4.2.3. 바닥/작업대/의자에 제전 처리가 되어야 한다.

   5.4.2.4. 작업시 제전장갑 착용 필수

   5.4.2.5. ESD유발 물품 공정반입 허용

  5.4.3 C등급 : ESD/EOS에 민감한 IC를 거의 취급하지 않지만 PBA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정

   5.4.3.1. 제전화 및 제전복 착용 필수

   5.4.3.2. PBA는 직접적으로 취급하는 작업자 어스링 착용, IC를 간접적으로 취급하는  작업자에

                한해 일부 어스링 미 착용 허용

   5.4.3.3. 바닥/작업대/의자에 제전 처리가 되어야 한다.

   5.4.3.4. 작업시 제전장갑 착용 필수

   5.4.3.5. ESD유발 물품 공정반입 허용

  5.4.4  D등급 : ESD/EOS에 민감한 IC를 거의 취급하지 않거나 PBA에 지장이 거의 없는 공정

   5.4.4.1. 제전화 및 제전복 미 착용 허용

   5.4.4.2. 어스링 미착용 허용

   5.4.4.3. 바닥/작업대/의자에 제전 처리가 반드시 되지 않아도 된다.

   5.4.4.4. 작업시 제전장갑 이외 사용 허용

   5.4.4.5. ESD유발 물품 공정반입 허용

 

    

 

'프로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공포장 부품관리 지침  (1) 2024.02.27
조직 관리 프로세스  (1) 2024.01.25
신뢰성 시험 프로세스  (1) 2024.01.24
파라메타 관리 프로세스  (1) 2024.01.23
식별 및 추적성 관리 프로세스  (1) 2024.01.22